예스24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강의
휴머니스트
<이진우> 저
2019-07-01
대출가능
(보유:1, 대출:0)
<b>오늘날 우리를 가장 위협하는 것은 스스로 생각하기를 포기하는 일이다!
</br>지독한 사유의 자극제, 아렌트를 통해 우리 시대를 ‘이해하는’ 법
</br>
</br>한나 아렌트는 나치 정권의 전체주의를 온몸으로 겪으면서도 정치와 자유의 문제를 치열하게 사유한 20세기 최고의 정치철학자다. 『니체의 인생 강의』, 『의심의 철학』 등을 통해 수많은 독자들에게 철학적 사유의 즐거움을 선사한 포스텍 이진우 교수가 아렌트의 정치철학을 함께 읽고, 이를 통해 우리 시대에 가장 중요한 정치적 문제들을 살펴본다. 정치를 어떤 관점에서 사유해야 할까? 어떻게 정치적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시대의 노예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멈추고 생각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우리를 끊임없이 고민하게 만드는 ‘사유의 자극제’ 아렌트의 철학을 통해 그 길을 찾아보자.
</br>
</br>현실정치의 문제들은 복잡하고 미묘하다. 다양한 입장과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상황에서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올바른 정치적 판단을 내리기는 무척 어렵다. 끊임없이 반복되는 경제 위기, 사회의 양극화와 불평등, 풍요 속의 새로운 빈곤, 부정부패, 테러리즘, 젠더 갈등, 난민 문제, 기후변화 등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는 복잡한 현안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판단해야 할까? 이 책은 아렌트의 정치철학을 통해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정치적 판단력을 기르고, 좀 더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br>
</br><iframe width="733" height="413" src="https://www.youtube.com/embed/Agp7CcEcTTs"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정치ㆍ사회철학자. 연세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석사ㆍ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거쳐 동 대학 총장, 한국 니체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석좌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글을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을 비판적으로 조명한 석사 학위 논문에서 ‘이성과 권력’을 철학적 사유의 화두로 설정한 이래 관심 영역을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로 확장하고 있다. 1988년 박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한〈허무주의의 정치철학―정치와 형이상학의 관계에 대한 니체의 재규정〉은 1990년 아우크스부르크 대학교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1992년에 세계적인 니체 연구 단행본 시리즈인 MTNF 26권으로 출간되었다. 인간 실존을 둘러싼 모든 문제를 그 극단까지 철저하게 사유한 니체의 실험 정신을 본받아 인간의 자유, 생명, 그리고 권력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인간다움의 새로운 의미를 찾고 있다.
지은 책으로《니체의 차라투스트라를 찾아서》,《니체, 실험적 사유와 극단의 사상》,《프라이버시의 철학》,《지상으로 내려온 철학》,《이성은 죽었는가》,《도덕의 담론》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한나 아렌트의《인간의 조건》《전체주의의 기원》(공역), 한스 요나스의《책임의 원칙》, 위르겐 하버마스의《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울리히 벡의《글로벌 위험사회》(공역), 마르크스?엥겔스의《공산당 선언》, 니체의《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유고(1870년~1873년)》《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등이 있다.
들어가는 글 사유하지 않음, 이것이 바로 악이다!</br></br>1. 이제 전체주의는 끝났는가?</br>2. 무엇이 우리를 쓸모없는 존재로 만드는가?</br>3. 괴물 같은 악을 저지른 자는 왜 괴물이 아닌가?</br>4. 왜 완전히 사적인 사람은 자유가 없는가?</br>5. 왜 우리는 다른 의견을 가져야 하는가?</br>6. 우리는 무엇을 위해 자유로운가?</br>7. 정치권력은 꼭 폭력적이어야 하는가?</br>8. 정치는 왜 가짜 뉴스를 만들어내는가?</br>9. 지배 관계를 넘어서는 평등의 정치는 가능한가?</br>10. 어떻게 정치의 규칙을 만들 수 있는가?</br></br>한나 아렌트 연보</br>주</br>참고 문헌</br>